전선 (군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선은 군사 용어로, 적대 세력이 대치하는 경계를 의미한다. 이는 전술적, 국지적, 전역적 개념으로 사용되며, 제1차 세계 대전의 서부 전선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전쟁 중 민간 부문의 상태를 나타내는 국내 전선도 존재한다. 붉은 군대에서는 군집단과 유사한 부대 단위로 사용되었으며, 2차 세계대전 중 다양한 전선이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전선 (군사) | |
---|---|
전선 (군사) | |
![]() | |
정의 | |
군사적 정의 | 전투 작전이 수행되는 지역 또는 지역들 |
지리적 정의 | 대립하는 군대가 대치하는 국경 또는 경계 |
역사적 맥락 | |
고전적 정의 | 군대가 작전을 수행하는 영역 |
현대적 정의 | 전략적, 작전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작전 지역 |
전선의 종류 | |
고정 전선 | 양측이 참호, 요새 등을 구축하여 제한적인 기동전을 수행하는 전선 (예: 제1차 세계 대전의 서부 전선) |
유동 전선 | 군대의 기동이 자유롭고 넓은 지역에서 공세와 방어가 반복되는 전선 (예: 동부 전선, 태평양 전선) |
전선의 중요성 | |
전략적 중요성 | 국가의 존망과 직결되는 핵심 지역을 방어하거나 점령하기 위한 전선 |
작전적 중요성 | 특정 군사 작전의 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 경로 또는 장애물 |
전선 유지의 어려움 | |
병참 | 전선에 필요한 물자 (식량, 탄약, 연료 등)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능력 |
병력 유지 | 전선에서 손실되는 병력을 보충하고 전투력을 유지하는 능력 |
사기 유지 | 장병들의 전투 의지를 고취하고 유지하는 능력 |
관련 용어 | |
전선 사령부 | 전선을 총괄하는 군사 조직 |
전선군 | 전선에 투입된 대규모 군사 부대 (예: 소련의 전선군) |
배후지 | 전선 후방의 병참 및 지원 기지 |
후방 | 전선에서 멀리 떨어진 안전 지역 |
2. 일반적인 용법
일반적인 군사 용어에서 '''전선''' (영: '''front''' 또는 '''battlefront''')은 적의 병력과 무장 상태로 대치하는 경계를 나타낸다. 전술적인 전선(tactical front), 국지 전선(local front), 전역(theater)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전선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과 프랑스 국경 사이의 서부 전선이 있다.
- 국내 전선·종후(home front)은 전쟁 중 민간 부문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전쟁에 필요한 물자 생산을 포함한다.
3. 붉은 군대(소련군)에서의 용법
붉은 군대의 조직에서 '''전선'''(Фронт)은 미국 육군이나 영국 육군의 군 혹은 군집단과 거의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한국어로는 "전선", "전선군", "정면군", "전선정면군", "방면군[3]" 등 다양하게 번역된다.
붉은 군대의 전선은 군 수준에서 전술 수준의 고정된 공군 병력을 그 조직 내에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 공군은 전선 사령관(통상 지상의 사령관)에 종속된다. 모든 전선은 STAVKA(최고 총사령부)와 TVD(Teatr Voennykh Deistvii, 군사 작전 전구) 모두에 보고했다.
붉은 군대의 전선은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이나 폴란드 침공 시(백러시아 전선과 우크라이나 전선)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창설되었다.
냉전 중, 전선과 그 참모장교들은 군관구에 모여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소련군 집단(Group of Soviet Forces)"이 되었다. 모든 군관구가 전선에 포함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군관구는 편성상의 공군을 보유하지 않았다.
3. 1.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 전선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붉은 군대는 다양한 전선을 편성하여 운영했다. 주요 전선들은 다음과 같다.- 발트 전선 (Baltic Fronts)
- 제1 발트 전선 - 1943년 후반 칼리닌 전선에서 재편성.
- 제2 발트 전선 - 1943년 10월 10일 브랸스크 전선에서 편성. 1944년 10월 1일 기준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제3 충격군
- 제10 친위군
- 제22군
- 제42군
- 제15 항공군
- 전선 예비: 제5 전차군단
- 제3 발트 전선
- 브랸스크 전선 - 1941년 12월 18일 편성, 서부 전선과 남서 전선 사이 영역에 창설. 쿠르스크 전투에 참여. 1943년 3월 11일-3월 12일 해산 후, 1943년 3월 28일 오룔 전선에서 재편성.
- 벨로루시 전선 (Belorussian Fronts)
- 제1 벨로루시 전선
- 제2 벨로루시 전선
- 제3 벨로루시 전선
- 코카서스 전선
- 중앙 전선
- 크림 전선 - 1942년 1월 크림반도 재점령을 위해 편성.
- 돈 전선
- 극동 전선 (Far East Front)
- 제1 극동 전선
- 제2 극동 전선
- 칼리닌 전선 - 1941년 10월 17일 편성. 1943년 10월-12월 제1 발트 전선으로 개칭.
- 카렐리야 전선 - 1941년 8월 23일 북방 전선에서 레닌그라드 전선과 함께 분리, 편성.
- 쿠르스크 전선
- 레닌그라드 전선 - 1941년 8월 23일 북방 전선에서 카렐리야 전선과 함께 분리, 편성.
- 모스크바 방어선
- 모스크바 예비 전선
- 모자이스크 방어선
- 북 코카서스 전선 - 1942년 9월 1일 흑해 병력 집단으로서 자캅카스 전선에 배치.
- 북방 전선 - 1941년 6월 24일 레닌그라드 군관구에서 편성.
- 북서 전선 - 1941년 6월 22일 발트 특별 군관구에서 편성.
- 오룔 전선 - 1943년 3월 24일 오룔 동쪽 독일군 돌출부에 대한 방어 목적으로 편성. 1943년 3월 28일 브랸스크 전선으로 재편성.
- 프리모리에 육군 집단
- 예비군 전선 - 1941년 7월 14일 편성, 7월 25일 해산.
- 예비 전선 - 1941년 7월 30일 편성.
- 남동 전선 - 1942년 8월 7일 스탈린그라드 전선 좌익군에서 편성. 1942년 9월 28일 스탈린그라드 전선으로 재편성.
- 남방 전선 - 1943년 10월 20일 제4 우크라이나 전선으로 개칭.
- 남서 전선 - 1941년 6월 22일 편성. 1942년 10월 22일 돈 전선과 보로네시 전선 사이에 편성. 1943년 10월 20일 제3 우크라이나 전선으로 개칭.
- 스탈린그라드 전선 - 1942년 7월 남서 전선 잔여 병력에서 보로네시 전선과 함께 편성. 1942년 9월 28일 돈 전선으로 개칭.
- 스텝 전선 - 1943년 10월 20일 제2 우크라이나 전선으로 개칭.
- 트랜스바이칼 전선
- 자캅카스 전선 - 1941년 8월 23일 편성.
- 우크라이나 전선 (Ukrainian Fronts)
- 제1 우크라이나 전선
- 제2 우크라이나 전선
- 제3 우크라이나 전선
- 제4 우크라이나 전선
- 볼호프 전선 - 1941년 12월 17일 편성.
- 보로네시 전선 - 1943년 10월 20일 제1 우크라이나 전선으로 개칭.
- 서부 전선 - 1941년 6월 22일 서부 특별 군관구에서 편성.
참조
[1]
서적
Department of Defense Dictionary of Military and Associated Terms: As Amended Through April 2010
DIANE Publishing Company
2011
[2]
간행물
FM 5-34 Engineer Field Data
Department of the Army
1999-08-30
[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